수목의료원2013.09.19 11:19

훌륭한 분야를 공부하시는군요.
질문 감사해요.
하지만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관찰력을 가지고 구체적인 질문을 하셔야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요.
막연한 질문에는 일반적인 대답밖에는 할 수가 없어요.
그럼 제가 질문을 해볼께요.

수간에 나타나는 병징은 없나요? 

잎은 이미 고사했겠지만 병흔은 남아 있겠죠. 
병해인가요? 
해충의 침입인가요? 
어떤 형태를 띄고 있나요?

뿌리를 파보셨나요?
정상적입니까?
색깔과 형태는?

같은 단지내에 다른 수종은 무엇이 있나요?

배수와 토질은 어떻습니까?

--- 미안해요. 괴롭힐 마음은 없었어요.
하지만 이렇게 해야 원인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어요.
몇가지 예만 든 것입니다.

최근에 전나무 응애로 피해를 입는 나무가 늘고 있어요.
산림에서는 피해가 적으나 조경수목에는 피해가 심각합니다.
주로 잎에 피해를 주며 초기에는 발견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요.
피해가 진전됨에 따라 잎이 회록색으로 변하고 마치 영양결핍처럼 보일꺼에요.
신초의 줄기와 잎기부에 엉성한 거미줄을 치고 그 속에서 수많은 개체가 이동하면서 피해를 가하며, 후에 잎이 갈색으로 변해요.
번식력이 강하여 짧은 기간내에 잎이 회록색으로 변한 후 갈색으로 됩니다.

전나무류는 성목일 수록 이식이 쉽지 않은 수종인데 옮기는 때에 살충/살균 처리를 확실히 해주지 않으면 후기에 생육에 커다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 외 원인들이 있지만 차후에 논하기로 하죠.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