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212 추천 수 0 댓글 3

금년 4월초 복자기나무 묘목을 이식하였습니다.

5월말부터 일부 수목에서 첨부 사진과 같이 잎이 활착하지 못하고 연한색과 시들은 상태가 지속되어

처음에 진딧물과 응애약 중심으로 방제하였습니다.

병징은 두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하나는 사진과 같이 활착되지 않은 잎(연녹색)에서 시들음 증상으로 시작하여 잎끝부터 마르는 현상

또 하나는 진한 녹색으로 활착된 잎에서 잎끝부터 가장자리로 갈색으로 변하여 들어가는 현상입니다.(사진 없음)

다이센엠 1회(6.3), 코리스 1회(6.10) 를 살충제와 혼합하여 살포하였고,

지속되는 가뭄영향으로 보여 6.16, 17일은 스프링클러 관수하였습니다.

그 다음주인 6.24일 상태는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피해엽의 상태는 돋보기 관찰결과 연한잎에서는 잎의 털과 간혹 흰색 조각(갈색매미충 잔재물 같은)이 보이고,

성숙잎의 피해엽은 아주 깨끗한 상태입니다.

(연한잎과 성숙잎은 한나무가 아니고 각각 다른 나무입니다.)

아래 사진은 초기( 6.3~6일) 연한잎들이 피해받는 상황을 찍은 사진입니다.

이번 주말에 무엇을 시급히 해야할지 몰라서 일단 부족한 사진이라도 올리니

현상태에서 예상되는 것을 일단 진단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토양은 마사질의 양질사토로 보이나 건조할 때 단단하게 굳는 특성이 있습니다.

  20180606_185412.jpg
  • 수목의료원 2018.07.04 20:48
    4월에 심어 5월에 문제가 보인다면 건조의 피해로 생각됩니다. 가뭄이 심한 계절에 묘목을 심을 경우 물을 정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주지 않으면 쉬 말라 타격을 받게 됩니다. 물주는 일이 자신이 없으면 차라리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 맞춰 심는 것이 나은 경우도 있습니다. 최소 3년 이상 지나야 뿌리가 자리를 잡아 가뭄이 와도 견디게 되는데 요즘 같은 기후에서는 묘목을 심고 물관리 시기를 몇 만 놓쳐도 큰 타격을 받게 되지요. 병충해 관리는 기본이고 물관리는 방심하면 안되는 필수입니다.
    토양이 쉽게 딱딱해지는 환경에서는 비가 와도 봄비처럼 세밀하게 천천히 내리지 않는 이상 뿌리속까지 물이 못가고 겉으로만 흘러 유실될 수가 있어 오히려 장마에도 물부족이 일어날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이런 토양에서는 스프링쿨러도 미세하게 나모는 것으로 여러 곳에 설치해야 필요한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습니다.
    제초제는 묘목에 위험합니다. 특히 전면 제초제의 경우는 그 피해가 커서 조심해야 합니다. 주변에 물이 너무 많으면 수분을 빼앗기니 자주 깍아주시고요.
  • 부여에서 2018.07.12 17:04
    답변 감사드립니다^^
  • 김정식 2018.07.22 11:15
    나무를 키우는 평범한 주말농부입니다.
    수목의료원에서 건조피해로 보인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제가 보기에는 과습이 원인이 아닐까란 생각이 드네요

    잎이 없는경우 건조와 과습을 판단하기 어렵지만
    잎이 있는경우 건조피해는 잎의색상이 갈색과 녹색이 선명하게 보이지만
    과습인경우 경계가 불분명합니다.

    위의사진에서보듯 잎의 경계가 불분명하기에 과습으로 보는게
    맞는듯하고요 6월 말까지 비는 넉넉히 왔기에 주위의 배수를
    점검해보는건 어떨런지요
?

Q&A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다양한 경험을 가진 담당자가 댓글을 남겨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클리닉 Q&A 게시판을 시작합니다. file 수목의료원 2003.03.06 511865
636 벤자민 가지가 하나씩 마르며 1 황인심 2006.12.20 29000
635 벤자민 잎이 덜어져요 2 강형미 2009.09.09 32053
634 벤자민과 미니야자수가 아픈가봐요 1 박미경 2004.02.29 21986
633 벤자민나무 1 file 김현철 2010.04.24 26588
632 벤자민에 곰팡이 같은게 1 전지은 2010.08.09 28139
631 벤자민에 벌레가 있어요 1 이명희 2004.01.14 24148
630 벤자민이 이상해요 궁금이 2004.02.20 20389
629 벽오동 병충해방제 1 박천관 2006.10.16 24839
628 병든 태산목 진료및 치료법 1 file 김진동 2008.04.22 30618
627 병증과 방제약에 대하여.. 1 file 임근석 2007.06.13 23211
626 병증에대해 여쭙니다. 1 file 임근석 2008.08.14 26045
625 병충 종류와 해결방법 문의 2 file 김성수 2014.09.12 38915
624 병충해 문의 드립니다............ 1 file 백준기 2015.10.05 17541
623 병충해 문의 및 관리방법 1 관리소장 2008.08.14 22833
622 병충해 종류와 약제를 알고 싶습니다 1 file 바다 2016.04.27 19920
621 보호수 관리방안 1 류경희 2005.10.24 20425
620 보호수에 관하여... 2 우빈 2010.12.04 23320
619 복자기 나무가 죽어가는 걸까요? 1 은행나무 2019.08.15 8539
» 복자기나무 잎끝마름 증상 3 file 부여에서 2018.06.26 12212
617 복자기나무 잎끝마름 증상과 조기낙엽 1 file 박춘수 2019.09.16 12111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3 Next ›
/ 5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