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192 추천 수 0 댓글 3

안녕하세요.


작년 3월에 마당에 심은 동백나무 입니다.

올때 부터 입이 누런 색을 띄는 것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여름즈음에 새 잎이 낫구요. 그런중에도 누런잎은 더러 있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니 다시 저렇게 누런잎들이 많아지더라구요.

그래서 황금잎을 가진 나무 같이 보이기도 합니다.

동백은 겨울에도 초록초록한 잎이 매력적이어서 심었는데 왜 이런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사진에서도 보이지만 잎 뒷면에  검정 반점(?)같은 것이 대부분의 잎뒷면에 생깁니다. 주변 권유에 따라  작년 초여름에 두차례

정도 보르도액을 살포해 주기도 했습니다만 별 소용이 없네요..

동백은 가을과 봄에 웃거름을 줘야 한다고 해서 지난 가을에 em 액비 를 듬뿍 뿌려주기도 했습니다.

그런데도 잎의 상태는 사진에서 보는바와 같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떻게 개선해야 초록초록한 잎을 가진 동백나무가 될수 있을까요? 또 건강하게 보살필수 있을까요?

그리고 동백나무의 웃거름은 어떤걸 어떤식으로 줘야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수목의료원 2020.01.29 21:45
    올 때부터 잎이 노랑색을 띄고 있었다면 구입처에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원래 변이종인지 상태가 나빠져서 그런건지 물어보세요. 잎은 사진을 확대해도 뚜렸하게 보이지않아 판단이 쉽지 않아요. 잎의 뒷면에 충의 피해가 보이는지도 알 수가 없군요. 앞면도 충의 피해가 잘 보이지 않아요. 가지 부분도 유심히 보셔야 합니다. 깍지벌레류인지, 가루이 종류인지, 응애 등의 피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전체적으로 깨끗한 편이고 원래 종은 잎이 녹색이 건강한 모습이라면 생리적 현상으로 변색이거나 특정 영양소의 부족으로도 볼 수가 있습니다. 현재로는 사진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엽면시비를 여러차례 시행해봅니다. 물에 쉬 녹는 수용성으로 복합액비 종류를 선택해서 설명서에 나와있는데로 물에 희석해서 5~7일 간격으로 여러차례 잎에 살포해 줍니다.
    올해 심으셨다면 아직 온전히 자리를 잡지 못했을 수 있으므로 토양에 거름이나 강한 성분의 비료를 삼가해야 합니다. 그보다는 잎의 엽면에 영양요소를 자주 살포해주고 평소 건조하지 않도록 자주 물을 잎에 분무해 줍니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지 꼭 확인해주시고 문제가 있다면 해결하셔야 합다.
    잎의 반점은 사진상으로 확대해도 선명하지 않아 식별이 어렵지만 탄저병이 아닐까 합니다. 이 경우 병에 감염된 잎과 과실을 잘라서 태우거나 땅에 묻고, 만코지수화제 종류를 500배액으로 희석해서 6월에서 9월사이에 4~5회 살포해 줍니다.
    건강한 수목은 건강한 유전자를 소유한 종류도 중요하지만, 수목의 종류에 맞는 토양 식재지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상기후에 의한 대기변화는 그에 맞게 물관리를 해주면서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 주면 됩니다. 1년 정도 지켜보면서 발생하는 병충해를 파악해서 다음해에는 예방방제를 충실히 해주면 됩니다.
  • 동백이랑 2020.01.31 15:03
    엽면시비용 복합액비중에 추천해주실만한 것이 있을까요? 전혀 문외한이라.. 그리고 엽면 시비는 언제해줘야 할까요? 작년 11월 부터 동백꽃몽우리만 만들어져 있고 여태 피질않고 있어서요. 꽃이 피고 진다음에 해야하나요?
  • 수목의료원 2020.01.31 15:43
    워낙 종류도 많고 지역에 따라 유통되는 것이 달라 가장 가까운 농약방에 가셔서 나무 비싼것 말고 중간정도 가격으로 물어보시고 무난한 걸고 구매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끔은 농약방 판매자가 지식이 있는 분들이 있으니 보시고 상담하고 구매하시는 것도 좋구요. 시용은 꽃이 지고 난 다음에 하시는게 좋겠네요.
?

Q&A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다양한 경험을 가진 담당자가 댓글을 남겨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클리닉 Q&A 게시판을 시작합니다. file 수목의료원 2003.03.06 506716
753 향나무가 말라가고 있어요 1 file 강서월드메르디앙아파트 2012.04.07 26860
752 큰쐐기풀제거... 1 treefe 2004.09.26 26853
751 부러진 나무를 살릴수 있나요? 1 file 강숙 2011.10.28 26850
750 느티나무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1 file 우연택 2009.08.06 26830
749 만병초가 병들었습니다. 1 file 김희원 2012.06.09 26826
748 2007 대한민국 조경.예술 엑스포박람회 참가안내 태성GL 2007.03.13 26824
747 아라우카리아 나무가 이상해요 1 file 김연희 2005.03.24 26794
746 나무이식및 관리 1 정진홍 2010.09.13 26787
745 주목이 말라죽어가고 있습니다 1 file 현대아파트 2012.03.27 26773
744 느티나무 고사여부 확인 및 관리방안 문의2 1 경기도광주시청하수과김준섭 2009.08.27 26760
743 소나무 잎의 노란현상2 file 소망공동체 2010.10.26 26731
742 나무들잎상태가안좋네요2 1 file 이병우 2011.10.25 26716
741 모과나무 상태가 이상합니다. 1 file 김우식 2009.06.12 26712
740 벚나무 잎이 마름 1 file 임성희 2008.04.30 26697
739 산수유가 죽어가요 1 file 우성진 2007.08.04 26677
738 등나무에 혹처럼 생긴병 1 file 최춘봉 2008.02.12 26672
737 조경 자재 및 전정 관련 문의 file 장용승 2015.03.25 26657
736 나무가말라죽어요 1 안경섭 2004.11.15 26646
735 칠엽수 치료나 방제방법 부탁드립니다. file 우찬호 2011.08.15 26637
734 은행나무를 살리고 싶습니다 1 박창균 2009.02.03 26614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53 Next ›
/ 5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